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ADsP 자격증] 1-3. 데이터베이스 활용

제 1과목 데이터 이해 / 1. 데이터의 이해 / 1-3. 데이터베이스 활용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망 구축이 가속화 되면서 90년대에는 기업 내부 데이터베이스가 기업 경영 전반에 관한 자료를 연계하여 경영활동의 기반이 되는 전사적 시스템으로 확대되었다.

정부측은 무역, 통관, 물류, 조세, 국세, 조달 등 사회간접자본(SOC) 차원의 투자와 EDI(전자문서교환) 활용이 본격화되었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공공DB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 시작했고, 최근 정부에서는 정부3.0을 통해 범국가적인 공공데이터 개방(공공부문)과 이용 활성화(민간부문) 전반을 지원하고 있다.

 

 

< 기업내부 데이터베이스 >

정보통신망 구축이 가속화 되면서 90년대에는 기업내부 데이터베이스(인하우스 DB)는 기업 경영 전반에 관한 모든 자료를 연계하여 일관된 체계로 구축, 운영하는 경영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전사 시스템(ERP)으로 확대되었다.

 

1)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 90년대 중반 이전, 정보의 수집과 이를 조직내에서 공유하기 위한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과 생산자동화, 통합자동화 등 기업 활동의 영역별로 구축되던 시스템이다.

    e.g ) 회계정보시스템(AIS), MIS(경영정보시스템), FIS(재무정보시스템), HRIS(인사정보시스템) 등 기능별로 필요에 의해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개발 - 기능별 데이터 중복 및 불일치 발생 → 전사적시스템(ERP)으로 가는 계기가 되었다.

 

2)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데이터 마이닝 등의 기술이 등장하면서 단순한 정보의 수집에서 탈피하여 분석이 중심이 되는 시스템 구축으로 변화하였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기업 DB 구축의 화두는 CRM(고객관계관리)와 SCM(공급망관리)로 바뀌었고, 유통/판매 및 고객데이터가 CRM과 연동되므로 CRM과 SCM은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가졌다. 

 

 

 

 

 

 

 

< 사회기반구조로써의 데이터베이스 >

- 1990년대 사회 각 부문의 정보화가 본격화되면서 DB구축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 무역, 통관, 물류, 조세, 국세, 조달 등 사회간접자본(SOC) 차원에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활용이 본격화 되면서 부가가치통신망(VAN, Value add network)을 통한 정보망이 구축되었다.

- 지리, 교통부문의 데이터베이스는 고도화되고, 의료/교육/행정 등 사회 각 부문으로 공공 DB의 구축 및 이용이 확대되었다.

- 2000년대 들어서는 더욱 고도화되어 일반 국민들도 가정에서 손쉽게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

 

물류부문

'실시간 차량추적'을 위한 종합물류 정보망 구축

지리부문 GIS(지리정보시스템) 응용에 활용하는 4S 통합기술, LBS, SIM, 공간 DBMS 및 웹 GIS
교통부문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교통정보, 기초자료 및 통계 제공, 대국민 서비스 확대
의료부문

- 의료정보시스템(처방전달시스템, 임상병리, 전자의무기록, 영상처리시스템, 원격의료 등)

- 국내 표준화 작업에 따라 전국적인 진료정보 공유체계 구축계획 수립

교육부문

-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각종 교육정보의 개발 및 보급, 정보 활용 교육

- 대학정보화 및 교육행정정보화 위주로 사업 추진

-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은 학사뿐만 아니라 기타 교육행정 전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