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과목 데이터 이해 / 3.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사이언스와 전략인사이트 / 3-3.빅데이터 그리고 데이터사이언스의 미래
< 빅데이터 시대 >
- 2011년 기준 디지털 정보량 1.8 제타 바이트 2020년 40 제타바이트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선거예측, 비용절감, 시간절약, 매출증대, 고객서비스 향상, 신규 비즈니스창출, 내부 의사결정 지원, 인공지능, 추천시스템 등 상당한 가치 발휘
< 빅데이터 회의론을 넘어 가치 패러다임의 변화 >
1) 내외부 환경이 급변할 때일수록 변화의 물결을 잘 읽어야 하며 예측하지 못했던 전환이나 위기에 빨리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2) 가치 패러다임 : 경제와 산업근저에는 가양한 가치 원천이 존재하며, 무작위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기간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가치 원천은 일정기간 패러다임적인 존재로 강력한 힘을 행사하다가 효력이 다하면 다음의 가치 패러다임에게 지배적인 지위를 넘겨준다.
3) 가치 패러다임의 변화
구분 | 설명 |
디지털화 (Digitalization) |
아날로그 세상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디지털화 하는가에 중점(모든 문서의 디지털화) 예) 도스운영프로그램, 워드, 파워포인트와 같은 오피스프로그램 등 |
연결 (Connection) |
디지털화된 정보와 대상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 연결이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해주느냐가 이 시대의 성패를 결정, 인터넷 환경의 연결정도에 따라 승패가 좌우 예) 구글 VS 야후, 네이버 VS 다음 등 |
에이전시 (Agency) |
사물인터넷(IOT)의 성숙과 함께 연결이 증가하고 복잡해짐. 복잡한 연결을 얼마나 효과적이고 믿을만하게 관리하느냐가 이슈, 데이터 사이언스의 역량에 따라 좌우 |
< 데이터 사이언스의 한계와 인문학 >
정량적 분석이라도 모든 분석은 가정에 근거하며, 가정이 변하지 않는 동안에도 실제 외부 요인은 계속해서 변화한다. 데이터 분석은 완벽하지 않으나 정보가 뒷받침되지 않는 직관보다 낫다.
예)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
① 모기지론 모델(주택가격에 대한 지나친 낙관)
② 신용리스크 모델(신용시장이 계속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는 가정)
→ 금융공학자들의 주택담보대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상품)에 대한 지나친 낙관적 해석으로 전 세계 경제가 위기
※ 데이터과학자는 통계학의 핵심 개념인 정규분포 조차 가정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늘 인지하고 모델의 능력에 대해 항상 의구심을 가져야한다. 또 가정들과 현실의 불일치에 대해 끊임없이 고찰하고 분석 모델이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살피기 위해 현실 세계를 주시해야 한다.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자격증] 1-10. 전략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필요역량(데이터과학) (0) | 2020.04.09 |
---|---|
[ADsP 자격증] 1-9. 빅데이터분석과 전략 인사이트 (0) | 2020.04.08 |
[ADsP 자격증] 1-8. 미래의 빅데이터 (0) | 2020.04.07 |
[ADsP 자격증] 1-7. 빅데이터 시대 위기요인과 통제방안 (0) | 2020.04.06 |
[ADsP 자격증] 1-6. 비즈니스 모델(빅데이터비즈니스사례, 기본테크닉) (0) | 2020.04.03 |